치트완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트완 국립공원은 네팔의 습윤 아열대 몬순 기후 지역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19세기 말 네팔 지배 계급의 사냥터로 시작되었으며, 1970년 코뿔소 보호를 위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다양한 야생동물, 특히 벵골호랑이, 인도코뿔소, 코끼리, 조류 등이 서식하며, 1997년 완충지대가 추가되어 현재 952.63km²의 면적을 가진다. 사파리 투어, 조류 관찰 등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국립공원 - 사가르마타 국립공원
사가르마타 국립공원은 네팔 최초의 자연 세계 유산으로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 6,000m 이상의 봉우리와 다양한 고산 동식물이 서식하며, 고쿄 호수군 일대가 람사르 협약 습지로 등록되어 있다. - 생태관광 - 세라 다 카나스트라 국립공원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주 남서부에 위치한 세라 다 카나스트라 국립공원은 상프란시스쿠 강의 발원지를 보존하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는 세라도 생물군계의 국립공원으로, 카스카 다 안타 폭포와 같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생태 관광지이다. - 생태관광 - 카쿰 국립공원
카쿰 국립공원은 가나 케이프코스트 북쪽에 위치하며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습윤 상록수림과 건조 반낙엽수림으로 구성, 카쿰 캐노피 워크웨이가 있는 주요 명소이자 생태 관광지로서 가나 야생동물 관리국과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의 관리하에 보호받고 있다. - 네팔의 세계유산 - 룸비니
룸비니는 네팔에 위치한 석가모니 부처의 탄생지로, 아쇼카 왕의 기둥 비문과 마야데비 사원 발굴 조사로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불교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탄생지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 네팔의 세계유산 - 파슈파티나트 사원
파슈파티나트 사원은 네팔 카트만두에 위치한 힌두 사원으로, 네와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시바의 상징인 무칼링가를 모시고 힌두교 신자들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진다.
치트완 국립공원 - [공원]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치트완 국립공원 |
로마자 표기 | Chitwan National Park |
위치 | 네팔 중부 테라이 지역 |
가장 가까운 도시 | 바라트푸르 |
설립일 | 1973년 |
면적 | 952.63 km² |
관리 기관 |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보호부 |
세계유산 등재 | 1984년 (제8차 세계유산위원회) |
세계유산 유형 | 자연유산 |
세계유산 기준 | vii, ix, x |
세계유산 번호 | 284 |
세계유산 지역 | 남아시아 |
지리 | |
최소 고도 | 100 미터 |
최대 고도 | 815 미터 |
환경 | |
지형 | 마하라바타 산맥과 추리아 언덕 사이의 계곡 |
추가 정보 | '테라이'의 하위지역인 '둔'에 위치 |
기타 | |
관련 면적 | 주변 완충 구역: 750 km² 생태학적 연결 지역: 총 3549 km²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19세기 말부터 치트완은 네팔 지배 계급이 겨울철에 즐겨 찾던 사냥터였다. 1950년대까지 카트만두에서 네팔 남부로 가는 길은 험난하여 도보로만 접근이 가능했고, 몇 주가 걸렸다. 봉건 시대의 대형 사냥꾼(대형 사냥꾼)과 그 수행원들은 몇 달 동안 머물면서 수백 마리의 벵골호랑이, 멸종위기종인 인도코뿔소, 아시아코끼리, 인도표범, 그리고 나무늘보곰을 사냥했다.[4]
치트완은 1년 내내 높은 습도를 보이는 습윤 아열대 몬순 기후(Cwa)를 보인다.[4]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의 중앙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몬순은 6월 중순에 시작하여 9월 말에 끝난다. 이 14~15주 동안 연간 강수량 2500mm의 대부분이 내린다. 10월 중순 이후에는 몬순 구름이 후퇴하고 습도가 떨어지며, 일일 최고 기온은 36°C에서 18°C로 점차 내려간다. 12월 말까지 밤 기온은 5°C까지 내려가며, 보통 며칠 동안 가볍게 비가 내린다. 그런 다음 기온이 점차 상승하기 시작한다.
치트완 국립공원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네팔은 히말라야 산맥의 이미지로 인해 고산 지대로 생각하기 쉽지만, 치트완 국립공원의 해발 고도는 50m에서 200m 정도로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공원 내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인도코뿔소, 벵골호랑이, 표범, 늪지악어 등이 서식하고 있다.[25][26][27][28]
1950년, 치트완의 숲과 초원은 2600km2가 넘었고, 약 800마리의 코뿔소가 서식하고 있었다. 중부 산악 지대의 가난한 농민들이 경작지를 찾아 치트완 계곡으로 이주하면서 정착이 허용되었고, 야생동물 밀렵이 만연했다. 1957년, 네팔 최초의 보존 법률이 코뿔소와 그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1959년과 1963년에는 에드워드 프릿처드 지가 치트완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5][6]
1960년대 말까지 치트완 정글의 70%가 벌채되었고, DDT를 사용하여 말라리아가 박멸되었으며, 수천 명의 사람들이 정착했고, 코뿔소는 95마리만 남았다. 코뿔소 개체 수의 급격한 감소와 밀렵의 심각성으로 인해 정부는 130명의 무장 병력으로 구성된 코뿔소 정찰 순찰대인 '가이다 가스티(Gaida Gasti)'와 치트완 전역의 경비초소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코뿔소 멸종을 막기 위해 1970년 12월 치트완 국립공원이 지정되었고, 다음 해에 경계가 설정되었으며, 1973년에 544km2의 면적으로 설립되었다.[7]
치트완에 최초의 보호 지역이 설립되었을 때, 타루족은 전통적인 땅에서 이주해야 했다. 그들은 토지 소유권을 부인당했고, 따라서 토지가 없고 가난한 상황에 놓였다. 국립공원이 지정되었을 때, 네팔 군인들은 공원 경계 내에 있는 마을을 파괴하고, 집을 불태우고 코끼리를 이용하여 밭을 짓밟았다. 타루족은 총으로 쫓겨났다.[8]
1977년, 공원은 현재 면적 952.63km2로 확장되었다. 1997년, 나라야니-랍티 강 시스템의 북쪽과 서쪽, 그리고 공원의 남동쪽 경계와 인도와의 국경 사이에 766.1km2의 완충지대가 추가되었다.[2]
3. 기후
4. 식생
내테라이 지역의 전형적인 식생은 히말라야 아열대 활엽수림으로, 국립공원 지역의 약 70%를 덮고 있는 주로 살 나무가 우세하다. 가장 순수한 살 나무 군락은 중앙부의 배수가 잘되는 저지대에 분포한다. 추리아 구릉의 남쪽 사면을 따라서는 살 나무와 치르 소나무 (''Pinus roxburghii'')가 섞여 자란다. 북쪽 사면에서는 살 나무와 함께 벨레릭 (''Terminalia bellirica''), 로즈우드 (''Dalbergia sissoo''), 액스우드 (''Anogeissus latifolia''), 코끼리 사과 (''Dillenia indica''), 회색 솜털 향유 (''Garuga pinnata'')와 같은 더 작은 꽃을 피우는 나무와 관목 종들과 ''바우히니아 바흘리''와 ''스파톨로부스 파르비플로루스''와 같은 덩굴식물들이 함께 서식한다.
계절적인 산불, 홍수, 침식은 강둑을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강변림과 초원의 모자이크를 만들어낸다. 최근에 퇴적된 충적토와 저지대에는 카테추 (''Acacia catechu'')와 로즈우드 (''Dalbergia sissoo'') 무리가 우세하며, 그 뒤를 세고 (''Bombax ceiba'')와 코뿔소가 매우 좋아하는 열매를 맺는 코뿔소 사과나무 (''Trewia nudiflora'') 무리가 따른다.[9] 벨벳 아름다움 베리 (''Callicarpa macrophylla''), 힐 글로리 보우어(''클레로덴드룸'' sp.) 및 구스베리 (''Phyllanthus emblica'')와 같은 하층 관목은 다양한 종들에게 은신처와 서식지를 제공한다.
테라이-두아르 사바나와 초원은 공원 면적의 약 20%를 차지한다. 코끼리풀이라고 불리는 ''사카룸 라벤나에'', 자이언트 케인 (''Arundo donax''), 카그라 갈대 (''Phragmites karka'')와 여러 종류의 참억새를 포함하여 50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한다. 칸스 풀 (''Saccharum spontaneum'')은 새로운 모래톱을 처음으로 식민화하고 매년 계절풍 홍수로 쓸려가는 풀 중 하나이다.[10]
5. 동물
특히 조류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데, 500종 이상의 새들이 서식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살아가는 곳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아침에는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다양한 식생은 700종이 넘는 야생 동물과 아직 완전히 조사되지 않은 수많은 나비, 나방, 곤충 종의 서식지이다. 킹 코브라와 큰 비단구렁이 외에도 17종의 다른 뱀, 별거북이와 왕도마뱀이 서식한다. 나라야니-랍티 강 시스템, 작은 지류들과 수많은 구하도 호수는 기록된 113종의 물고기와 무거 악어의 서식지이다. 1950년대 초 나라야니 강에는 약 235마리의 가르리알이 서식했다. 개체 수는 2003년 야생 가르리알 38마리로 급격히 감소했다. 매년 강가에서 가르리알 알을 수집하여 ''가르리알 보존 프로젝트''의 번식 센터에서 부화시켜 6year~9year까지 사육한다. 매년 어린 가르리알을 나라야니-랍티 강 시스템에 다시 방류하지만, 안타깝게도 생존하는 개체는 매우 적다.[11]
이곳에서는 코끼리 탑승, 래프팅, 카누, 조류 관찰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자연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5. 1. 포유류
치트완 국립공원에는 68종의 포유류가 서식한다.[12] 벵골호랑이는 "정글의 왕"으로 불리며, 테라이의 충적 평원 서식지는 세계 최고의 호랑이 서식지 중 하나이다. 치트완 국립공원 설립 초기 25마리 정도였던 호랑이 개체 수는 1980년에 70~110마리로 증가했으나, 밀렵과 홍수로 인해 감소하기도 했다. 1995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구에서는 82마리의 번식 가능한 호랑이와 100km²당 암컷 6마리의 밀도가 확인되었다.[13] 2010년과 2011년 카메라 트랩 조사에서는 호랑이 밀도가 100km²당 4.44~6.35마리였으며, 호랑이들은 인간 활동이 많은 낮 시간대를 피해 활동하는 패턴을 보였다.[14]
인도표범은 공원 주변부에서 주로 발견되며, 호랑이와 공존하지만 사회적으로 열등하여 주요 호랑이 서식지에서는 흔하지 않다.[15] 1988년에는 보호 구역 밖에서 구름표범 한 마리가 포획되어 무선 추적 장치가 부착되었으나, 공원에 방사된 후 그곳에 머물지 않았다.[16]
치트완은 나무늘보곰의 개체 밀도가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약 200~250마리가 서식한다. 민무늬수달은 수많은 개울과 시내에 서식하며, 벵골여우, 얼룩린상, 꿀벌꿀오소리는 먹이를 찾아 정글을 돌아다닌다. 줄무늬하이에나는 추리아 구릉의 남쪽 사면에 주로 서식한다.[17] 2011년 카메라 트랩 조사에서는 들개, 인도자칼, 물고기잡이 고양이, 정글고양이, 표범고양이, 게잡이몽구스, 노랑목담비, 큰 인도사향고양이, 작은 인도사향고양이, 아시아 손바닥사향고양이가 기록되었다.[18]
인도코뿔소는 1973년 이후 개체 수가 회복되어 20세기 말 약 544마리로 증가했다.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1986년부터 바르디아 국립공원과 슈클라판타 국립공원으로 매년 동물을 이동시키고 있으나,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위협받고 있다. 2002년에는 밀렵꾼들이 뿔을 노리고 37마리를 죽이기도 했다.[7] 치트완은 네팔에서 가장 많은 인도코뿔소 개체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네팔 전체 645마리 중 605마리가 치트완에 서식한다.[19] 가우어는 일년 중 대부분을 국립공원 남쪽 추리아 구릉에서 보내지만, 봄에는 초원과 강가 숲으로 내려와 풀을 뜯는다. 치트완의 가우어 개체 수는 1997년부터 2016년까지 188마리에서 368마리로 증가했으며, 인접한 파르사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도 112마리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공원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수많은 멧돼지 외에도 치탈, 사슴, 붉은사슴, 인도멧돼지사슴 떼가 공원에 서식하며, 차우싱가와 히말라야세로우는 주로 산악 지대에 서식한다. 붉은털원숭이, 회색랑구르, 인도천산갑, 인도관모쥐, 여러 종의 하늘다람쥐, 검은목토끼, 멸종위기에 처한 긴털토끼도 서식한다.[17] 2016년에는 코시 타푸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18마리의 야생물소를 받았다.[20]
5. 2. 조류
이 공원은 세계조류보호기구(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21] 매년 조류 관찰자와 보호 운동가들은 전국에 서식하는 조류 종들을 조사한다. 2006년에는 치트완 국립공원에서 543종을 기록했는데, 이는 네팔의 다른 어떤 보호 지역보다 훨씬 많은 수이며 네팔의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는 종의 약 3분의 2에 해당한다. 2008년 봄에는 20마리의 검은턱유히나, 한 쌍의 굴드태양조, 한 쌍의 꽃머리앵무, 그리고 드문 겨울철 방문객인 회색가슴뜸부기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22]
특히 이 공원의 충적 평원은 심각한 위기에 처한 벵갈플로리칸, 취약한 작은황새, 회색머리프리니아, 늪프랑골랭, 그리고 여러 종의 풀밭솔새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2005년에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초원 유형에서 200마리 이상의 가는부리솔새가 목격되었다.[23] 준위협종인 동양큰가마우지는 많은 호수 주변에 서식하며 번식하는데, 이곳에는 백로류, 왜가리류, 황새류, 그리고 물총새류도 풍부하다.
이 공원은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는 점박이독수리의 몇 안 되는 알려진 번식지 중 하나이다.
텃새 외에도 약 160종의 철새와 길잃은 새들이 가을에 북쪽 고위도 지방에서 치트완에 와서 겨울을 보낸다. 그중에는 큰점박이독수리, 황제독수리, 팔라스물수리가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는 붉은쇠오리, 큰고니가 있다. 2월에 북쪽으로 이동하는 중인 혹고니의 대규모 무리가 며칠 동안 쉬어 간다.
겨울 방문객들이 봄에 떠나자마자 남쪽 저위도 지방에서 여름 방문객들이 도착한다. 뻐꾸기의 울음소리는 봄의 시작을 알린다. 화려한 물총새와 여러 태양조 종은 우기 동안 흔히 번식하는 방문객이다. 많은 구세계딱새 종들 중에서 비행 중 긴 물결 모양의 꼬리를 가진 인도파라다이스벌새는 장관이다.
가이드가 동행하는 지프 또는 도보로 라프티 강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조류 관찰을 할 수 있다. 3~5월 건기 말이 가장 많은 종을 관찰할 수 있으며, 소요 시간은 2~3시간이다.
6. 관광
카트만두에서 비행기로 약 30분 거리에 있는 바랏푸르에 도착한다. 거기에서 차로 45분이면 갈 수 있다. 카트만두에서 버스를 타면 7시간 정도 걸린다. 관광객은 허가가 없으면 출입할 수 없다. 주변 지역은 전형적인 농촌이고, 자연과 사람 모두 매우 소박하다. 호텔에서 버스 정류장까지 마중을 나오며, 대부분은 지프 차량이지만, 가끔 마차나 소달구지도 있다. 호텔에는 전기가 들어오는 곳도 있고, 전기 대신 램프만 있는 호텔도 있다. 또한 호텔은 국립 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사파리가 관광의 기본이다. 벵골호랑이, 표범 등을 만날 확률은 낮은 것이 현실이다. 단, 네팔에만 서식하는 외뿔코뿔소는 종종 볼 수 있다. 사슴과 야생 공작도 정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타루 족의 민가와 생활상은 매우 소박하여 볼 만한 가치가 있다. 밤에 열리는 타루 족의 댄스 쇼도 매우 소박하다.
코끼리 등에 올라 즐기는 정글 사파리나 더 넓은 범위를 탐험할 수 있는 지프 사파리, 래프팅, 카누, 버드워칭 등의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다.
- 코끼리 사파리: 가장 인기 있는 액티비티로, 공원 안을 코끼리 등에 올라타 사파리를 즐긴다. 정글에서는 코끼리 등에 탄 채 강을 건넌다. 드물게 희귀 동물을 만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뿔소 등을 자주 볼 수 있다. 코끼리 탑승장은 동서 두 곳에 있다. 소요 시간은 약 90분이다.
- 지프 사파리: 지프를 이용한 사파리 투어로 가이드와 함께 정글을 탐험하며, 정글 내부의 악어 양식장과 호수 등을 둘러본다. 야생 동물을 발견하면 차를 세우고 가이드가 설명해 준다. 많은 지프는 지붕 없는 적재함에 앉도록 되어 있다. 소요 시간은 약 4시간이다.
- 버드워칭: 가이드가 동행하는 지프 또는 도보로 라프티 강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조류 관찰을 한다. 3~5월 건기 말이 가장 많은 종을 관찰할 수 있다. 소요 시간은 2~3시간이다.
7. 세계유산
이 세계 유산은 세계 유산 등록 기준에 있어서 다음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등록되었다.
- (7) 한층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 최상의 자연 현상 또는 지역을 포함한 것.
- (9) 육상, 담수,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중의 진화와 발달에서 진행하고 있는 중요한 생태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보여주는 뚜렷한 모범.
- (10) 생물 다양성의 본질적 보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자연 서식지를 포함하는 것. 여기에는 과학적 또는 보존의 관점에서 뛰어난 보편적 가치가 있는 멸종 위험이 있는 종류의 서식지 등이 포함된다.
1962년에 네팔 최초의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1973년에는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1984년에는 유네스코(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의 세계유산(자연유산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타라이 지방 최고의 관광지로 주목받게 되었다.
8.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
2003년 람사르 협약 습지로 등록된 비샤자리 호수(Bishazari Tal)는 치트완 국립공원의 완충 지대에 있다.[28]
9. 미디어
EBS 1TV의 세계테마기행에서 치트완 국립공원이 소개되었다.[1] 제프 코윈 체험 (The Jeff Corwin Experience) 시즌 2, 11화에서는 치트완 국립공원의 독특한 코뿔소 무리가 소개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Chitwan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05-15
[2]
서적
Nepal Biodiversity Resource Book. Protected Areas, Ramsar Sites, and World Heritage Sites
https://lib.icimod.o[...]
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Ministry of Environment, Science and Technology, in cooperation with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3]
서적
Riding the Tiger. Tiger Conservation in human-dominated landscapes
https://web.arch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0-23
[4]
서적
Heart of the Jungle: the Wildlife of Chitwan, Nepal
André Deutsch
[5]
학술지
Report on a survey of the rhinoceros area of Nepal
[6]
학술지
Report on a brief survey of the wildlife resources of Nepal, including rhinoceros
[7]
학술지
The curse of success
http://www.sosrhino.[...]
[8]
학술지
Conservation and the impact of relocation on the Tharus of Chitwan, Nepal
http://digitalcommon[...]
[9]
학술지
Fruits Rhinoceros Eat: Dispersal of Trewia Nudiflora (Euphorbiaceae) in Lowland Nepal
[10]
간행물
Change in Grassland Veget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Royal Chitwan National Park, Nepal
[11]
보고서
Gharial field study report
A report submitted to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Conservation
2003
[12]
웹사이트
Biodiversity – Chitwan National Park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Nepal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Conservation
2018-01-21
[13]
학술지
Temporal Variation in Tiger (''Panthera tigris'')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Monitoring
[14]
학술지
Coexistence between wildlife and humans at fine spatial scales
[15]
학술지
Leopard and Tiger Interactions at Royal Chitwan National Park, Nepal
[16]
학술지
The clouded leopard in Nepal
[17]
서적
The Status of Nepal’s Mammals: The National Red List Series
http://awsassets.pan[...]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Conservation
[18]
학술지
First camera trap record of pack hunting dholes in Chitwan National Park, Nepal
[19]
뉴스
Rhino population
http://www.chitwanna[...]
Government of Nepal Department of National Parks and Wildlife Conservation
2016-01-31
[20]
학술지
Revisiting genetic structure of Wild Buffaloes Bubalus arnee Kerr, 1792 (Mammalia: Artiodactyla: Bovidae) in Koshi Tappu Wildlife Reserve, Nepal: an assessment for translocation programs
[21]
웹사이트
Chitwan National Park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10-18
[22]
학술지
Additional Sightings
[23]
학술지
Status and Distribution of Slender-billed babbler ''Turdoides longirostris'' in Chitwan National Park, central Nepal
[24]
서적
地球の歩き方 ネパール’07-’08
ダイヤモンド社
[25]
서적
地球の歩き方 ネパール’15-’16
ダイヤモンド社
[26]
웹사이트
Chitwan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04-27
[27]
뉴스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7-03-13
[28]
웹사이트
Beeshazar and Associated Lake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1-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